한자 '閱'은 '門'(문 문)과 '兌'(기쁠 태)로 이루어졌습니다. '門'은 문을 뜻하고, '兌'는 입을 벌리고 말하는 모습을 나타내어, 문을 열고 안을 들여다본다는 뜻에서 '볼 열'의 의미가 생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