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稟'은 '곡식 벼'를 뜻하는 '禾'와 '품을 빌다' 또는 '받다'를 뜻하는 '品'이 합쳐진 글자입니다. '禾'는 벼 이삭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고, '品'은 여러 개의 입 모양이 모여 있는 모습으로, 여러 가지 물건이나 품목을 뜻합니다. 그래서 '稟'은 여러 가지 곡식을 받는다는 뜻에서 '여쭐 품'이라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기억법
벼 이삭(禾)이 여러 입(品)에게 전달되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여러 사람에게 곡식을 여쭤보는 모습입니다.
'禾'는 벼, '品'은 여러 입이 모인 모습이니, 벼를 여러 입에게 여쭤본다고 생각하면 쉽게 기억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