修자는 '사람(亻)'과 '수(攸)'로 이루어졌습니다. '사람'은 사람이 하는 행동을 나타내고, '수(攸)'는 길을 걷는 모습을 그린 글자입니다. 그래서 '사람이 길을 따라 걸으며 스스로를 닦는다'는 뜻에서 '닦을 수'라는 의미가 생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