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
부수
획수10
총획수13
음과뜻탄식할
🤖 AI로 알아보기

구성원리

한자 嗟는 '입(口)'과 '차(差)'로 이루어졌습니다. '입'은 말을 하거나 소리를 내는 것을 나타내고, '차'는 본래 '어긋날 차'라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소리의 모양을 나타내는 부수로 쓰였습니다. 그래서 이 한자는 입으로 탄식하거나 한숨 쉬는 소리를 나타냅니다.

기억법

  • 입(口)으로 '차차' 소리를 내며 탄식하는 모습을 떠올려 보세요.
  • '차(差)'가 어긋나는 소리처럼, 입에서 나오는 탄식 소리라고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