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
부수
획수11
총획수17
음과뜻
🤖 AI로 알아보기

구성원리

한자 '糠'은 '곡식'을 뜻하는 '米'와 '강할 강(康)'이 합쳐진 글자입니다. '米'는 쌀이나 곡식을 나타내고, '康'은 본래 '편안하다'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소리 부분으로 사용되어 '강' 소리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糠'은 쌀을 도정할 때 나오는 겨, 즉 쌀겨를 뜻합니다.

기억법

  • 쌀 '米' 위에 '康'이 있어서 쌀과 관련된 단어임을 기억하세요. 쌀겨는 쌀에서 나오는 부분이니까요.
  • '康'이 '강하다'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소리로 쓰였다는 점을 떠올리며, 쌀과 소리 '강'이 합쳐져 쌀겨 '糠'이 된다고 외워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