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詮’은 말할 ‘言(언)’과 완전할 ‘全(전)’이 합쳐진 글자입니다. ‘言’은 말을 뜻하고, ‘全’은 온전하고 갖추어진 상태를 뜻해서, ‘말을 완전하게 갖추다’라는 뜻에서 ‘갖출 전’이라는 의미가 생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