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
부수
획수19
총획수23
음과뜻손발굽을
🤖 AI로 알아보기

구성원리

한자 '攣'은 '손'을 뜻하는 '手(扌)' 부수와 '손발이 구부러지는 모양'을 나타내는 '孚'가 결합된 형태입니다. '手'는 손과 관련된 동작을 나타내고, '孚'는 둥글게 감싸는 모양을 통해 손발이 구부러지는 상태를 표현합니다. 그래서 '攣'은 손발이 구부러지거나 경련하는 뜻을 가집니다.

기억법

  • 손(扌)이 둥글게 감싸는 모양(孚)을 떠올리며, 손발이 구부러져 경련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 '攣'의 왼쪽은 손을 뜻하는 부수(扌), 오른쪽은 둥글게 감싸는 모양(孚)으로, 손발이 움켜쥐어 구부러지는 느낌을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