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貲'는 '貝'(조개, 옛날에 돈을 뜻함)와 '次'(차례, 순서)로 이루어졌습니다. '貝'는 재물을 나타내고, '次'는 차례나 순서를 뜻하는데, 이 두 부분이 합쳐져 '재물'이나 '재산'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