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
부수
획수6
총획수13
음과뜻재물
🤖 AI로 알아보기

구성원리

한자 '貲'는 '貝'(조개, 옛날에 돈을 뜻함)와 '次'(차례, 순서)로 이루어졌습니다. '貝'는 재물을 나타내고, '次'는 차례나 순서를 뜻하는데, 이 두 부분이 합쳐져 '재물'이나 '재산'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기억법

  • 조개껍데기(貝)는 옛날 돈이었어요. '次'는 차례를 뜻하니, 차례차례 모은 조개껍데기들이 바로 재물이에요.
  • '貝'는 돈, '次'는 순서! 돈이 차례대로 쌓이면 큰 재물이 된다고 생각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