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
부수
획수9
총획수12
음과뜻헤아릴
🤖 AI로 알아보기

구성원리

한자 '測'은 물을 뜻하는 '氵'(삼수변)와 '則'(법칙, 기준)으로 이루어졌어요. '氵'는 물과 관련된 뜻을 나타내고, '則'은 기준이나 법칙을 뜻해요. 그래서 '測'은 물의 흐름이나 상태를 기준에 맞춰 헤아린다는 뜻에서 '헤아릴 측'이라는 의미가 생겼답니다.

기억법

  • 삼수변 '氵'는 물을 나타내니까, 물의 깊이나 흐름을 '측정'하는 모습으로 기억해요.
  • '則'은 법칙이나 기준을 뜻하니, 물의 상태를 일정한 기준으로 '헤아린다'고 생각하면 쉽게 외울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