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痛'은 '疒(병질)'과 '甬(통할 용)'으로 이루어졌습니다. '疒'는 병이나 아픔과 관련된 부수이고, '甬'은 길이 뚫려 통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어, 몸속에 아픔이 통한다는 의미로 '아플 통'자가 만들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