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嘗'은 '口'(입 구)와 '尝'(맛볼 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口'는 입을 나타내어 맛보는 행위를 의미하고, '尝'은 본래 '尝'자 자체가 맛보다는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이 한자는 입으로 맛을 본다는 뜻에서 '맛볼 상'이라는 의미가 생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