篡자는 '竹'(대나무 죽)과 '爫'(손톱 조), 그리고 '欠'(하품 흠)으로 이루어진 형성자입니다. '竹'는 대나무로 만든 도구나 물건을 뜻하고, '爫'는 손톱 모양으로 잡거나 빼앗는 동작을 나타내며, '欠'은 부족하거나 빼앗는 의미를 더합니다. 이 세 부분이 합쳐져서 '남의 것을 빼앗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기억법
대나무(竹)로 만든 도구를 손톱(爫)으로 꽉 잡고, 하품하는 모습(欠)처럼 크게 벌려서 남의 것을 빼앗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대나무 밭에서 손톱으로 무언가를 움켜쥐고, 부족한 듯 하품하는 모습이 '빼앗다'는 뜻을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