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
부수
획수10
총획수21
음과뜻꾀꼬리
🤖 AI로 알아보기

구성원리

한자 鶯은 '새 조(鳥)'와 '응할 옹(翁)'이 합쳐져 만들어졌어요. '鳥'는 새를 뜻하고, '翁'은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꾀꼬리의 울음소리를 표현했어요. 그래서 이 한자는 꾀꼬리라는 새를 뜻합니다.

기억법

  • 새(鳥)와 할아버지(翁)가 함께 노래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꾀꼬리가 할아버지처럼 멋진 노래를 부르는 거예요!
  • ‘鳥’는 새를 뜻하고, ‘翁’은 소리를 나타내니, 새가 예쁜 소리로 노래하는 꾀꼬리라고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