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
부수
획수6
총획수9
음과뜻씻을
🤖 AI로 알아보기

구성원리

拭자는 '손'을 뜻하는 '手(扌)'와 '식'(식초 식, 殳)으로 이루어졌어요. '手'는 손으로 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殳'는 무언가를 치거나 닦는 동작을 의미해서, 손으로 무엇인가를 닦거나 씻는 뜻이 되었어요.

기억법

  • 손(扌)으로 무언가를 닦는 모습을 떠올리며, '씻을 식'자를 기억해요.
  • '식초 식(殳)'이 손과 만나서 손으로 깨끗이 닦는 행동을 나타낸다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