狹자는 '犬(개 견)'과 '夹(끼일 협)'가 합쳐진 모습입니다. '夹'는 두 손이 무엇인가를 끼고 있는 모양으로, 무언가가 좁은 틈 사이에 끼어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여기에 '犬'이 더해져서, 좁은 공간에 개가 끼어 있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어 '좁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기억법
狹자를 볼 때, 개(犬)가 두 손(夹) 사이에 끼어 좁은 틈에 갇힌 모습을 떠올리면 쉽게 기억할 수 있어요.
狹자는 좁은 공간에 개가 끼어 있는 그림이라고 생각하면, '좁을 협'의 뜻과 소리를 함께 기억하기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