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
부수
획수2
총획수7
음과뜻종꼭지
🤖 AI로 알아보기

구성원리

한자 甬은 '통로'나 '길'을 뜻하는 상형문자에서 유래했습니다. 원래는 사람이 길을 따라 걷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위쪽의 '用' 부분은 손을 사용한다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소리 부분으로 쓰였고, 전체적으로는 길이나 통로를 의미합니다.

기억법

  • 甬자를 보면 가운데에 길처럼 뻗은 선이 있어, 사람이 지나가는 통로를 떠올리면 쉽게 기억할 수 있어요.
  • 용(用)자가 들어가 있으니, '손으로 길을 만든다'고 생각하면, 길이나 통로를 뜻하는 甬자를 기억하기 쉬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