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訶’는 말할 ‘言(말씀 언)’과 가차(假借)된 ‘可(옳을 가)’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言’은 말을 뜻하고, ‘可’는 소리를 나타내어, 함께 모여 ‘꾸짖다’ 또는 ‘꾸중하다’라는 뜻을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