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
부수
획수5
총획수12
음과뜻꾸짖을
🤖 AI로 알아보기

구성원리

‘訶’는 말할 ‘言(말씀 언)’과 가차(假借)된 ‘可(옳을 가)’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言’은 말을 뜻하고, ‘可’는 소리를 나타내어, 함께 모여 ‘꾸짖다’ 또는 ‘꾸중하다’라는 뜻을 만듭니다.

기억법

  • ‘言’은 말을 뜻하고, ‘可’는 ‘옳다’는 뜻이니, 옳은 말을 하면서 꾸짖는 모습으로 기억해요.
  • ‘言’이 말하는 입 모양이고, ‘可’가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모습처럼, 말을 하며 꾸짖는 장면을 떠올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