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
부수
획수5
총획수15
음과뜻지껄일
🤖 AI로 알아보기

구성원리

한자 鬧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왼쪽 부분은 '門(문 문)'으로, 문이나 출입구를 뜻해요. 오른쪽 부분은 '鬧'의 소리 부분인 '鬧'인데, 여기서는 '鳥(새 조)'가 반복되어 있어요. 새들이 모여서 시끄럽게 지저귀는 모습을 나타내어 '시끄럽다', '떠들다'라는 뜻을 만들었어요.

기억법

  • 문(門) 안에 새(鳥)들이 많이 모여서 시끄럽게 지껄이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그래서 '지껄일 뇨(鬧)'라는 뜻이 기억에 남아요.
  • 새들이 문 앞에서 떠들썩하게 노는 장면을 떠올리면, 이 한자가 '시끄럽다'는 뜻임을 쉽게 기억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