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埻'는 '土'(흙 토)와 '準'(준비할 준)으로 이루어졌습니다. '土'는 땅이나 흙을 뜻하고, '準'은 기준이나 과녁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埻'는 땅 위에 과녁을 세운다는 뜻에서 '과녁준'으로 만들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