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匱'는 '갑(匣)'과 '궤(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졌습니다. '匣'는 상자나 함을 뜻하고, '匱'는 부족하거나 모자람을 의미합니다. 이 한자는 상자 안에 무엇인가가 부족하거나 모자란 상태를 나타내는 뜻에서 만들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