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啐'는 입 구(口)와 깨물 교(齊)로 이루어졌습니다. 입 구(口)는 입과 관련된 뜻을 나타내고, 깨물 교(齊)는 본래 '가지런하다'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소리 부분으로 사용되어 '깨물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즉, 입으로 무언가를 깨무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
기억법
입(口)으로 가지런히(齊) 깨무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입 안에서 가지런히 이가 맞닿아 무는 모습이 떠오르면 쉽게 기억할 수 있어요.
입(口)과 가지런할 교(齊)를 합쳐서 '입으로 가지런히 깨문다'고 생각하면, '啐'의 뜻과 소리를 함께 기억할 수 있습니다.